주식 ETF 지정가주문, 시장가주문 차이와 주식 매매시간
- 경제/주식증권
- 2020. 3. 25.
오늘의 포스팅은 주식거래를 해보지 않으신 분들을 위해 정리한 내용입니다.
* 주식거래를 한 번이라도 하신 분들이라면 읽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주식 매매시간은?
주식 정규장 매매시간은 아침 9시부터 오후 3시 반까지 열립니다.
사실 여러분들이 원하시면 그 시간 외에도 주식을 주문할 수 있는 시간이 있습니다. 그런데 주식 초보는 주식 매매시간은 일단 9시부터, 3시 반까지를 기억해 두시고 그 외의 시간과 그때의 주문방식 같은 경우에는 다른 포스팅을 통해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보통 이 정규장 시간에 주식 매매, 사고팔고 하는 매수, 매도 주문을 넣게 되는데요.
주식 매매를 위해서 확인해야할 매수, 매도, 체결에 대해서 알아야 하고 그다음 단계가 주문 유형을 지정하는 것입니다.
지정가, 조건부지정가, 최유리지정가가 있습니다. 주식 초보분들은 시장가주문과 지정가주문 2가지만 기억을 하시면 되는데요. 9시부터 3시 반가지 정규장 시간 동안에는 주식을 사려는 사람들과 팔려는 사람들이 거래를 하는 중이잖아요. 그래서 수요와 공급에 의해 시시각각 가격이 변하게 됩니다.
그럼 여기서 지정가주문은 가격이 계속 변경되니 지금은 한 주의 가격이 6만 원인데 가격 변동이 일어나다가 한 5만 9천 원까지 내려가지 않을까, 나는 5만 9천 원에 내가 원하는 가격에 지정해서 매수 혹은 매도를 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지정가주문을 하시면 됩니다.
시장가주문은 하루종일 가격이 움직일 텐데 가격 변동에 필요 없이 지금 이 가격에, 6만 원이라는 현재 이 가격에 구매를 하고 싶다고 하면 시장가주문을 하시면 됩니다. 가격을 따로 지정할 필요 없이 현재의 가격에 구매를 하면 되는 거죠.
주식 매수할때 지정가주문, 시장가주문의 차이!
보통 지정가주문을 많이 하시기 때문에 지정가주문을 해보자면, 일단 매수와 매도를 클릭하시고 지정가주문을 선택한 다음에 지정가주문은 내가 원하는 금액, 그리고 몇 개를 살 건지 주수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이때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9시부터 3시 반까지 가격이 움직이다가 내가 지정한 가격 5만 9천 원까지 가격이 내려와서 이 선으로 되면 내 주문이 걸리는 거지만 지정한 가격까지 금액이 내려오지 않으면 주문이 체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계시면 됩니다.
- 여기서 오늘 5만 9천원에 주문을 걸어놓았는데 주문이 체결되지 않았으면 이 경우에 주문이 소멸되는 거예요. 다음날에 또 종목을 다시 사고 싶다면 다음날 아침에 다시 주문해야 합니다.
- 그리고 보통 이렇게 주문을 걸어 두시고 다른일들을 하시잖아요? 이때 가격이 움직이다가 5만 9천 원까지 내려와서 내 주문이 체결이 되면 체결이 되었다고 보통 알림이 오는데요, 알림을 받지 못했다면 체결 내역을 클릭하셔서 내가 걸어두었던 주문이 체결이 되었는지 미체결 상태인지 확인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반대로 시장가주문 같은 경우에는 쉽습니다. 저도 거의 시장가로 매수를 하는 편인데요. 우리가 가격을 선택할 필요가 없습니다. 나는 지금 이 가격이 좋아서 구매를 하겠다는 거니까요. 그래서 나는 시장가주문에 몇개를 살 건지, 주수만 입력을 하면 되는 거고 시장가주문은 바로 체결이 됩니다. 지정가주문처럼 기다리거나 미체결이 되거나 하는 경우는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