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블로거, 너는 유튜버? 신기한 유튜브 알고리즘 분석
- IT/블로그 운영
- 2020. 3. 13.
안녕하세요. 저는 블로그 하는 걸 너무 재밌어하지만 요새 확 뜬 직업은 유투버죠. 오늘은 유튜브의 신기한 알고리즘에 대해서 공부해보려고 해요.
유튜브를 하시는 분들이 검증한 로직들을 보고 저도 몇자 정리해봅니다.
우선 유튜브의 수입 구조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데요. 유튜브라는 기업은 무엇으로 돈을 벌고 있는 기업일까요?
유튜브를 하지 않는 분들도 알고 계실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정답은 바로 광고수익이죠.
유튜브는 무조건적으로 시청자들이 유튜브라는 매체 플랫폼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야 합니다. 그래야 광고 수익이 늘어나는 구조로 되어 있어요. 그래서 유튜브는 자기들에게 돈을 벌어다 줄 시청자들의 체류시간을 늘려 줄 수 있는 콘텐츠를 찾아서 돈을 버는 구조로 세팅되어 있어요. 이건 작년 저작권 세미나에서 대도서관님 강의를 듣고 알게 된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언론사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이 있다고 하면 카테고리가 시사/교양으로 분류가 되어 있다고 합시다. 여기서 시사교양 부리 표가 무엇인가요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
모든 검색에는 크롤링과 인덱싱의 개념이 있습니다. 유튜브 안에서도 유튜브 봇이라고 하는 애가 있죠!
데이터베이스가 구글이나 유튜브의 포맷에 맞게 카테고리를 분류를 해놓은 것을 인덱싱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쉽게 설명을 드리자면 제가 빵 먹는 영상을 찍었을때 유튜브에서는 이 영상에서 나오는 자막 등등을 분류해볼때 먹방 영상의 카테고리가 있는 영상과 유사정도가 60%니까 이 영상은 음식 카테고리로 분류를 해야겠구나 인지를 하고 분류를 하게 됩니다.
그래서 언론사 채널 같은 경우 교양 카테고리의 분류가 자동으로 되어 있을 가능성이 큰거에요. 그래서 이 언론사 유튜브 채널에서 첫 영상을 올렸을 때 이 채널이 유튜브에 돈을 벌어줄 채널인지를 시험해 보게 되어요. 그래서 시사교양 채널 카테고리에 있는 시청자 수를 10명정도 뽑아서 시범적으로 영상을 보여주게 됩니다. 그러면 그 사람들이 이 영상을 얼마나 클릭했는 지 혹은 클릭한 사람들이 얼마나 많이 시청하는지를 점수로 뽑아내요. 예를 들어서 시사교양 채널에서 제가 체류시간이 오점만점이라고 하면 유튜브 회선을 3점이상 되지 않는 영상들을 밀어줄 일이 없게 되는 거에요. 그런데 이 점은 5명, 10명 이렇게 정해진 것이 아니고 예로 설명드린 거에요.
여기서 느끼는 것은 그러니까! 우리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유튜버라면 영상에서 어떻게 하면 체류시간이 길어질 것인가를 연구해야 하는 거죠. 체류 시간을 높히는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이 부분은 상당히 어려운데요!
아까 예시로 든 언론사 유튜브 채널에서 시사교양 채널에서 항상 영상을 보여 줬을 때 한 사람은 3분 이상 영상을 시청했다, 아니면 영상 지속시간에 한 50% 이상을 항상 본다라는 시청자가 있다면 그 시청자는 평균 시청자들보다 카테고리 내에서 등급 높은 시청자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평균 체류 시간이 굉장히 높은 점수를 받은 영상들을 그러게 등급 높은 시청자들에게 추천이 될 확률이 상당히 큽니다. 왜냐하면 그렇게 해야 사람들이 이 유튜브에서 체류를 오래 할 수 있게 되겠죠. 그렇게 유튜브는 광고 수익을 더 많이 벌 수 있게 되는 거죠.
그래서 평균 체류 시간이 처음에 측정이 될 때 같은 카테고리에 대해서 평균 이상을 받은 영상들이 계속 등급 좋은 시청자들에게 수천이 되고 그 사람들이 많이 오-래 보겠지요. 그러면 또 더 높은 등급을 받게 되고 그렇게 선순환이 일어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그 카테고리 내에서 특급 영상들의 공통점을 어떻게 정밀하게 잘 분석할 수 있는 지 또 거기서 어떤 부분을 취하고 어떤 보드를 버리고 초기 구독자 수가 컸을 때 또 다른 전약을 구사하면 되는 거죠.
유튜브 채널을 키울 때 어느정도와, 중장기적으로 10만 20만 구독자 수를 가진 사람들이 채널을 키울 때 전략은 매우 다릅니다. 오늘 포스팅한 내용은 아예 초반에 영상을 시작하 실 때 유튜브 로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를 고민하시는 분들께 도움될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5만 이상의 어느정도 구독자 수가 확보되신 분들에게는 또 다른 전략이 필요하겠죠.
순서만 정리해보겠습니다!
- 고퀄리티의 좋은 영상을 올려야 유튜브에서 푸시를 해줍니다
- 그래서 사람들의 체류시간을 늘려야 합니다.
- 그렇게 하려면 고퀄의 영상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런 선순환구조입니다. 매우 간단하지만 꼭 지켜야 할 룰인거죠. 뻔하지만 꼭 필요한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다 같이 디지털노마드를 향해 화이팅입니다:)